자 료 실

※ 자료실의 ‘글쓰기’, ‘댓글’ 작성을 위해서는 회원가입 또는 로그인을 하셔야 합니다.

※ 봉려관 스님과 관련이 없거나, 비방 • 욕설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가 임의로 삭제할 수 있습니다.

산천단 - 출가수계의지 확립, 하화중생의 발아 (2)

작성자
heawoldang
작성일
2019-12-08 16:22
조회
1396

수계를 위해 제주도를 떠난 시기는? 크게 두 설로 나뉜다. 하나는 '1907년 9월'이고, 다른 하나는 '1907년 12월 1일'이다.

먼저 '1907년 9월'을 언급한 것은,

  • <관음사 봉려관 비문>의 원문 : "丁未(1907)九月"
  • 진원일 : "서기 1907년 음력 9월에 중 될 생각으로 전라남도 해남군 대흥사를 찾아갔다."

<관음사 봉려관 비문>은 오이화 생존 시에 작성된 것이며, 작성자는 불분명하다. 진원일의 '1907년 음력 9월'은 <관음사 봉려관 비문>원문에 의거한 것으로 사료된다. 그리고 <탐라불교사료>에서도 1907년 9월이라고 한다.

다음은 봉려관이 출가수계를 위해 제주도를 떠난 시점을 '1907년 12월 1일'로 보는 견해이다. 장연종(1924~2017)이 대표적이다. 탐라불교신문이 기획특집으로 "안봉려관스님 일대기"를 연재했는데, 연종이 자료제공을 했다. 여기에서 '1907년 12월 1일 제주를 출발하여 승려가 되고저 한 안봉려관은 ......'고 한다. 또 연종이 감수한 "안봉려관스님 일대기1"에서도 '1907년 12월 1일 제주를 출발하여 승려가 되고자한 안봉려관은 ......'고 한다.

종합하면 위에서 인용한 자료 중 봉려관 생존 시와 가장 근접한 시기에 작성된 것은 <관음사 봉려관 비문>이다. 그리고 진원일은 봉려관과 함께 중앙포교당 등에서 생활한 적이 있다. 연종의 '12월 1일'은 연종이 근거한 문헌과 구술이 불분명해 인용이 조심스럽다. 뒤에서 언급될 대흥사까지 여정을 참조하면 '1907년 9월'설이 타당하다



<발췌 : 해월당 봉려관 스님의 발자취 세미나 - '근대 한국여성의 선구자 해월당 봉려관 스님' / 2018. 11. 22 / 혜달스님>

 

전체 0

전체 12
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
12
산천단 - 출가수계의지 확립, 하화중생의 발아 (4)
bongryeogwan | 2019.12.15 | 추천 0 | 조회 1439
bongryeogwan 2019.12.15 0 1439
11
산천단 - 출가수계의지 확립, 하화중생의 발아 (3)
heawoldang | 2019.12.08 | 추천 0 | 조회 1514
heawoldang 2019.12.08 0 1514
10
산천단 - 출가수계의지 확립, 하화중생의 발아 (2)
heawoldang | 2019.12.08 | 추천 0 | 조회 1396
heawoldang 2019.12.08 0 1396
9
산천단 - 출가수계의지 확립, 하화중생의 발아 (1)
heawoldang | 2019.12.08 | 추천 0 | 조회 1251
heawoldang 2019.12.08 0 1251
8
1900년 후반 ~ 1901년
heawoldang | 2019.12.08 | 추천 0 | 조회 1291
heawoldang 2019.12.08 0 1291
7
봉려관의 생애 (4)
heawoldang | 2019.12.08 | 추천 0 | 조회 1278
heawoldang 2019.12.08 0 1278
6
봉려관의 생애 (3)
heawoldang | 2019.12.08 | 추천 0 | 조회 1457
heawoldang 2019.12.08 0 1457
5
봉려관의 생애 (2)
heawoldang | 2019.12.08 | 추천 0 | 조회 1441
heawoldang 2019.12.08 0 1441
4
봉려관의 생애 (1)
heawoldang | 2019.12.07 | 추천 0 | 조회 2083
heawoldang 2019.12.07 0 2083
3
해월당 봉려관 스님의 출생년월에는 이견이 있다.
heawoldang | 2019.12.05 | 추천 0 | 조회 1720
heawoldang 2019.12.05 0 1720
error: 주의: 콘텐츠가 보호중입니다 !!